주일예배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파일 |
---|---|---|---|---|---|
공지 | 주일오전 3부예배 실황영상 | 주바라기 | 2019-03-23 | 730 |

16
6월 16일, "아브람, 하나님 나라의 시작(3)" 창세기 12장 4-9절 신재형 목사
By 박혜인
2024월 06월 21일
아브람, 하나님 나라의 시작(3) (창11:27-12:9)
<설교 주제>
하나님께서는 오늘도 우리를 통해 세상과 구별되는 하나님 나라를 시작하신다.
<설교 대지>
1. 타락한 세상 나라 속에서 시작하는 하나님 나라(11:27-12:1)
2. 약속에 대한 믿음으로 시작하는 하나님 나라(12:2-5)
3. 예배를 통해 시작하는 하나님 나라(12:6-9)
하나님을 대적하는 바벨이라는 세상 나라가 세워지는 가운데 하나님께서는 조용히 하나님 나라를 시작하셨습니다. 그 첫발은 바로 한 사람, 아브람을 부르시는 것이었습니다. 부르실 때의 상황은 그리 좋지 못했습니다. 타락한 세상 나라는 갈수록 하나님을 대적합니다. 거룩한 계보도 우상을 숭배합니다. 이런 가운데 하나님은 아브람을 불러 타락한 세상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셨습니다. 하나님 나라는 이 부르심과 함께 조용히 출발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을 다시 한번 더 부르십니다. 갈대아 우르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나왔지만, 그리고 그것은 대단히 훌륭한 출발이었지만, 하나님 나라는 한 번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하란에서 아브람을 다시 한번 더 부르시며 하나님 나라를 조금씩 움직이시고, 이 세상 가운데 드러나게 하셨습니다.
이번에는 좀 더 구체적인 약속도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보여주실 땅을 주시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씨를 통해 하나님 나라를 세워 가겠다는 약속입니다. 비록 이 약속은 귀한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아직은 실체 없고, 눈에 보이는 확실한 담보 없는 말뿐인 계획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아브람은 반문하지 않았습니다. 이 보이지 않는 약속을 믿고 신뢰하며 그 약속에 자신과 가정을 맡겼습니다. 하나님 나라는 이런 방식으로 시작하며, 그 면면이 세워집니다.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우리를 불러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가려고 하십니다. 종종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하지만 이미 부르심이 끝난 것처럼 사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미 천국가게 되었고, 이미 하나님 자녀이며, 이미 몸과 마음이 약해졌기 때문에 부르심이 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오늘도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부르십니다. 하나님 나라는 한번에 완성되는 나라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 혼자서 다 하시는 나라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 나라는 연약하지만 믿음 있는 사람들이 함께 세우는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섭리를 믿으며, 그 하나님의 일하심에 자신과 가정을 맡기는 사람들이 하나님 나라의 면면을 세워 가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처음부터 일일이 설명하지 않으셨습니다. 설명해도 담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브람은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인도와 섭리를 믿고 마침내 가나안 땅에 왔습니다. 설명이 조금도 없었는데도 말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아브람과 그 가정을 가나안의 중심부, 세겜의 상수리나무 아래로 인도하셨습니다. 상수리나무는 가나안 사람들이 신탁을 받는 사당이 있는 곳입니다. 이후에도 성경을 보면 이스라엘이 타락할 때 항상 상수리나무 아래에서 우상을 섬깁니다(참고. 삿9:6; 사57:5; 렘6:13). 뱀의 후손인 가나안 사람이 거주하는(참고. 창12:6) 세겜 상수리나무로 아브람을 인도하신 하나님은 바로 그곳에서 드디어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7절)라고 구체적인 계획을 드러내십니다.
하나님은 쩨쩨하게 대적이 약해질 때를 기다리는 분이 아닙니다. 원수의 목전에서 자기 자녀들에게 하늘의 밥상을 베푸시고, 사자와 곰의 아가리를 찢어 그 백성을 구원하시는 분이십니다. 연약하지만, 자녀도 없지만, 나그네이지만 아브람과 그 가정을 바로 사단의 심장부로 인도하셔서 약속을 선포하신 것입니다. 아브람도 이 하나님을 믿으며, 세겜에서 제단을 쌓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벧엘에서도(12:8), 헤브론에서도(13:18), 가나안 땅 요충지를 다니며 제단을 쌓습니다. 마치 가나안 땅을 청소하듯, 정결하게 만들어 봉헌하듯 말입니다. 나중에 야곱 역시 이 과정으로 제단을 쌓으며 가나안으로 돌아옵니다(창33:18, 20[세겜]; 35:6-7[벧엘], 27[헤브론]). 나중에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정복할 때도 세겜, 벧엘은 중요한 장소로 먼저 정복하고, 언약을 세우고, 성소를 세우며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합니다(참고. 신11:29-30; 수24:1, 26등). 부모가 대적들의 눈앞에서 드린 예배로 자녀들이 돌아오며, 바로 그 땅을 정복하는 은혜를 누립니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사단의 심장부, 지옥의 권세 바로 그 아래로 들어가셨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하나님 나라의 권세는 오히려 완성되어 우리를 살리시고, 하늘에 함께 앉으셨습니다(참고. 엡2:6). 오늘도 우리가 예배드리는 곳은 사단의 심장부입니다. 문제가 가득하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장소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드리는 예배로 우리의 자녀가 돌아오며, 그 문제를 우리와 우리 자녀들이 정복해 나갈 것입니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섭리는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적용을 위한 질문>
1. 일반적으로 교회는 예배를 드리지 않는 분들에게는 봉사의 기회를 제한합니다. 왜 그럴까요?
2. 예배를 통해 승리와 회복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나누어봅시다.
댓글